본문 바로가기

현대 사회 이슈

코로나 시대에 온라인 수업 때문에 증가하는 거북목증후군 환자수, 어떻게 치료하고 극복할 수 있을까?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과다 사용으로 인해 거북목 증후군을 가진 현대인들이 더욱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특히나 요즘 코로나 때문에 학생들 대부분이 온라인 수업을 하면서 거북목 증후군을 가진 사람이 많이 생겼습니다. 거북목은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 아니라 목과 어깨의 통증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거북목 교정을 받고 싶어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가령 거북목이 있어도 아프지 않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특히 성인에 비해 근육과 인대가 유연한 청소년의 경우가 그렇습니다. 반대로 치료를 통해 통증이 줄어든 이후에도 여전히 거북목을 가지고 있는 사람도 많습니다. 즉, 거북목교정을 해야만 치료되는 것이 아니고, 치료는 치료대로 교정은 교정대로 받아야 합니다.

 

치료를 통해 통증이 줄어들고 나면, ‘거북목 교정은 따로 필요가 없는 건가?’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거북목교정은 당연히 꼭 해줘야 합니다. 목이 앞으로 나가 있는 거북목 형태를 방치하면, 목의 뒤쪽 근육 및 인대가 앞으로 나간 머리를 계속해서 붙잡아야 합니다. 이런 자세가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목 뒤쪽 근육과 인대가 긴장을 받고 많은 하중을 부담하게 되어 장기적으로는 목 주변 근육과 인대, 디스크가 손상되고, 퇴행성 변화를 일으켜 결국에는 퇴행성 목디스크로 진행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때 많은 분들이 교정 방법으로 생각하시는 것이 목을 우두둑 꺾어 목뼈의 배열을 한 번에 맞추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단시간에 교정하기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거북목은 뼈의 문제가 아니라 목뼈 주변을 둘러싼 근육과 인대가 거북목 형태로 굳어진 것입니다. 오랫동안 수년에 걸쳐 잘못된 자세로 인해 이미 목의 근육과 인대가 거북목 형태로 굳어졌기 때문에 이를 한 번에 교정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애초에 뼈가 문제가 아니기에 뼈를 교정할 필요도 없을뿐더러, 뼈를 억지로 꺾는다고 경추가 정상적인 C자 형태로 돌아가기는 힘들 수밖에 없습니다.

 

거북목의 치료 방법은 목 근육과 인대의 문제로 나타나는 거북목은 침, 약침이나 봉침, 추나 등의 한방치료로 비교적 쉽고 간단하게 치료할 수 있습니다. 목뼈의 배열을 변형시킨 원인이 되는 근육과 인대를 부드럽게 만들어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 치료의 핵심입니다. 침 치료를 통해 뭉친 근육을 풀어주고, 통증이 나타나는 부위에 약침액을 직접 주입해 근육과 인대에 발생한 염증을 제거하고 통증을 줄입니다. 또한, 이완 추나를 통해 굳고 긴장된 근육과 인대를 부드럽게 풀어주어 정상적인 목 형태인 C자 커브를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참고로 침과 추나치료는 건강보험 항목이라 저렴하게 받으실 수 있습니다.

 

혹은 병원에 가시기 힘드시고 평상시 책상에 앉거나 스마트폰을 하다가 할 수 있는 스트레칭이 있습니다.

 

■위아래 목 젖히기

1. 두 손을 모아 깍지를 끼고 뒤통수를 감싸주세요.

2. 양팔을 앞으로 모아주며 지긋이 머리를 눌러주세요.

3. 5~10초간 유지한 후 정면을 봐주세요.

4. 깍지 낀 손으로 목 뒤를 감싸주세요.

5. 목을 천천히 뒤로 젖혀주세요.

6. 5~10초간 유지한 후 정면을 봐주세요.

 

■목 근육 이완하기

1. 한쪽 팔을 반대쪽 귀편의 머리에 올려주세요.

2. 머리를 올린 팔 쪽 방향으로 지그시 눌러주세요.

3. 10초간 자세를 유지해주세요.

4. 반대쪽도 동일하게 진행해 주세요.

 

■좌우 고개 이완하기

1. 몸이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 한 쪽 팔을 반대쪽으로 뻗어주세요.

2. 반대 팔로 뻗은 팔을 감싸 당겨주세요3. 당겨지는 반대 방향으로 고개를 돌려주세요.4. 5~10초간 유지해 주세요.5. 반대쪽도 동일하게 진행해주세요.

 

스트레칭 이외에도 거북목 증상을 예방하는 방법에는 바른 자세 유지하기, 모니터, 스마트폰 화면 눈높이에 맞추기, 적당한 높이의 베개 사용하기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