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부터 30세 이상 예비군과 민방위 대원, 국방·외교 관련자를 대상으로 접종 예약을 시작한 얀센 코로나 19 백신 부작용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존슨 앤드 존슨의 제약 자회사 얀센의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처럼 매우 드물게 혈전증이 부작용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얀센 백신은 바이러스 전달체 백신인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처럼 일부에서 혈소판 감소증을 동반한 희귀 혈전증이 보고됐습니다.
앞서 얀센 백신 사용을 허가한 미국에선 나이 제한을 두진 않았지만, 50세 미만 여성에게서 희귀 혈전증 발생 가능성이 있다는 경고 문구를 달았습니다. 그러나 혈소판 감소증을 동반한 희귀 혈전증 사례는 국내에선 약 327만 건 접종 이후 30대 남성으로부터 확인된 게 첫 사례로 미국이나 유럽 등보다 더 발생률이 낮습니다. 이에 코로나 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은 아스트라제네카-옥스퍼드대 백신과 마찬가지로 백신 접종으로 얻는 이익 등을 고려해 30세 이상에게 얀센 백신 접종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외에 임상시험 결과에서도 등록 대상자 4만 3783명 중 관련성을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 이상반응'은 상완 신경 근염 등 7건입니다. 추진단도 백신 분야 전문가 자문과 예방접종전문위원회 검토 등을 거쳐 30세 이상을 대상으로 접종을 권고했습니다.
앞서 얀센백신 부작용 우려에 대해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미국에서 얀센 백신 1000만 건 정도의 접종이 진행됐는데 접종 후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에 대한 보고가 있었다"면서 "그러나 굉장히 드물게 발생하고 조기에 발견할 경우 치료가 가능합니다. 백신 접종으로 인한 위험보다는 이득이 크다고 판단해 30세 이상에 대해 접종을 진행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접종 대상자 다수가 사전 예약에 적극적인 이유로는 1회 접종만으로도 높은 면역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점이 꼽힙니다. 얀센 백신의 효능은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 백신(63%)보다 조금 높은 66.9%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통상 50% 이상의 효능을 보일 경우 코로나 19를 통제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평가돼 전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미국 등에서 실시한 다국가 임상시험에 따르면 접종자 3만9321명 중 접종 14일 이후 66.9%, 28일 이후 66.1%가 예방접종 효과를 보였습니다.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남아공) 변이주에 64%, 브라질 변이주에 68.1%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증명됐습니다. 미국에선 1050만여 명이 접종받았습니다. 카투사 등 한국인을 포함한 주한미군 내 접종자 1만 7000명 중 5200여 명이 얀센 백신을 맞았습니다.
오늘(6월 1일부터)는 백신을 한 차례 이상 맞고 2주가 지난 사람들은 방역 조치가 조금 완화되는 혜택을 받게 됩니다. 직계가족이 모일 때 제한된 8명에 포함되지 않고요, 복지관이나 경로당 같은 노인복지시설 이용도 수월해집니다. 다음 달부터는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이 아니라면 야외에서는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됩니다.
'현대 사회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故손정민씨 친구, 악플러들과 허위사실 유포한 유튜버 고소하다. (0) | 2021.06.08 |
---|---|
문재인 대통령, 여부사관 추모하며 가슴 아픈 마음을 드러내며 가족들에게 죄송함과 확실한 수사를 약속하다. (0) | 2021.06.08 |
'오십견'은 무엇이고 어떻게 예방과 치료를 할 수 있을까? (0) | 2021.05.21 |
수면이 중요한 이유, 몸의 휴식 뿐만 아니라 뇌도 똑똑하게 해준다? (0) | 2021.05.21 |
故손정민씨, 물에 혼자 직접 들어가는걸 봤다는 목격자가 나와 (0) | 2021.05.20 |